top of page

공공시설 /Renovation

산지천 공공화장실’ , 2018

건물위치  제주도 제주시 이도일동

건축용도 공공시설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규모  지상 1층

완공연도  2018

사진가  신상호

 

문제점

과거 산지천 일대는 교통과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하천이 흐르고 녹음이 우거진 곳이었습니다. 바다에 사면이 접한 제주도는 장소 특성상 항구가 발달하였고, 근처에 있던 산지천은 번화가로 자리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신도심에 공항이 생기고, 각종 행정기관 들이 이전하게 되면서 산지천 일대는 낙후되었고 우범지대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동문 로터리를 기준으로 북쪽에 있는 산지천 일대는 원도심 살리기 사업으로 인해 도로 및 가로공사가 이루어졌고, 주민들을 위한 문화시설 또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저녁이 되면 어두운 거리로 변화합니다. 

이런 거리에 시민들을 위한 열린 화장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열린 화장실은 많은 사람의 편의를 목적과는 달리 사람들의 사용 빈도가 높은 데 반해 시설이 노후화되고, 치안이나 안전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자연스럽게 우범지대로 전락하고 말았습니다.

 

이러한 환경의 문제들을 단순히 입면과 내부 환경을 변화시켜 개선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새롭게 변화된 화장실의 입면은 산지천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제주석이나 풀 나무들과 잘 어우러지는 나무색의 루버와 산지천의 색인 어두운색 창으로 디자인되었습니다. 이는 산지천이 가지고 있는 자연의 물성 그리고 일대 건물들의 이미지가 전반적으로 어우러진 입면 디자인입니다. 루버는 건물을 입체감 있게 만들어주기도 하고 가벼운 느낌을 더해주기도 합니다.

따라서, 루버는 기존의 어둡고 폐쇄적인 화장실 이미지 개선에 도움을 주고, 기능적으로 필요한 만큼의 시선을 차단하여 쾌적하고 밝은 공간의 이미지 또한 충족시켜 줍니다.

루버 사이사이에 있는 LED와 밝은 화장실 사인, 그리고 건물 전면에 넓은 창들에서 새어 나오는 빛들은 밤에는 어두운 공간을 밝게 비추는 도구로 변모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산지천 거리 일대의 환경을 개선 시키고 거리의 이미지 또한 변화시켜줄 것입니다.

로딩바.gif
bottom of page